OP-31. 멘토링을 활용한 고등학교 ‘과학과제연구’ 수업에서 예비생물교사의 교사효능감
최재혁, 손연아(단국대학교)
2022 개정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중점 사항(교육부, 2021)에는 학습자가 자신의 삶과 학습을 주도적
으로 구성하는 능력을 통해서 미래 사회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며,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
권을 확대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교육부(2021)의 ‘초·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에는 이러한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예비교사가 갖추어야할 역량으로 ‘교과 간 융합 능력’, ‘학습자 주도의 수업
운영 능력’, ‘교육자료의 재구성 능력’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진로선택 과목인
‘과학과제연구’ 수업에서 멘토로서 역할을 수행한 예비생물교사들이 가지는 교사효능감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교사효능감은 교사로서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교사 자신의 교직과 관련
된 수행능력에 대한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A고등학교 ‘과학
과제연구’ 102차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크게 ‘선행연구분석, 연구과정연습, 연구
프로젝트수행, 연구발표’의 총 4단계로 구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예비생물교사들은 모둠별로 멘토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단계별 주요 역할을 예로 들면, ‘선행연구분석’ 단계에서는 메가트랜드를 중심으로
한 선행연구 검색 방법을, ‘연구과정연습’ 단계에서는 주제 선정 방법 및 연구설계 방법을, ‘연구프로젝
트수행’ 단계에서는 실험기자재 사용, 실험실 안전, 연구수행의 전반적인 과정을, ‘연구발표’ 단계에서
는 발표자료제작 및 발표구성 방법 등에 대한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예비생물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분석하기 위하여 Tschannen-Moran & Hoy (2001)의 OSTES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OSTES는 크게 ‘교육전략, 학습관리,
학습촉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교육전략’ 영역과 관련하여, 예비생물교사들은 과학내용 및 탐
구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수전략, 다양한 필요를 가진 학습자와 부합하는 맞춤형 교수전략,
다양한 과정평가전략 등을 중심으로 모둠별 멘토 역할을 수행하면서 교사효능감을 가질 수 있었던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관리’ 영역과 관련하여, 모둠에서 세부 목표를 설정하는 의사소통 과정과
모둠의 의견을 조율하거나 규칙을 만드는 과정에서 멘토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습촉
진’ 영역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거나 배움에 대한 중요성
을 인식시켜주는 방향으로 멘토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교사효능감을 높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
한 과정에서 예비생물교사들은 사범대학에서 수강한 통합과학교육, 과학탐구, 중등과학교육연구, 생명
과학내용학 관련 강좌에서 함양한 교과교육학적내용지식을 고등학교 현장에서 교육실제에 멘토역할을
통해 적용해봄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접목할 수 있는 과학교사로서의 자신감을 높인 것으로 생각된다.
*교신저자 (손연아) E-mail: yeona@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