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06.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에서 창의 성향과 환경의 매개 효과 분석 – 초등과학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김민주(서울문현초등학교), 임채성(서울교육대학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에서 창의 성향과 환경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
다. 이를 위해 창의 과정과 산물을 측정하는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창의 성향과 환경에 관한 자기 보고식
검사 도구를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5명에 투입하였다. 검사 도구에서 창의 성향은 인지적 성향과 정의적
성향으로, 창의 환경은 가정환경과 학교 환경으로 구성된다. 먼저 창의 과정을 외생변수, 창의 산물을 내생
변수, 창의 성향과 환경을 매개변수로 하는 구조 모형을 설계하여 AMOS 프로그램으로 매개 효과를 검증
하였다. 또한, 정량적 분석결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탐구하기 위하여 창의 과정에서 평균 이상의 점수
를 받았으나, 창의 산물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4명의 학생과 창의 산물 점수가 가장 높은 4명의 학생
을 대상으로 성향 및 환경을 심층적으로 조사하는 면담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 성향과 환경을 정의적 성향, 인지적 성향, 창의 환경으로 나누어 각각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에서 갖는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생 면담 결과,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의 공통적인 창의 성향 특징으로 미래의 성공을 위해 현재의 어려움을 참을 수
있다는 점, 주변 사람들의 말을 비판적으로 듣는다는 점이 있었다. 과학 창의성이 낮은 학생은 공통적으로
대인 관계에 민감한 편이었다. 셋째,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은 공통적으로 자유로운 의견을 존중해주는
가정환경에 속해 있는 반면, 과학 창의성이 낮은 학생은 자신의 의견을 무시 혹은 그에 반응하지 않는 가정
환경에 속해 있었다. 또한,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의 여가 활동은 새롭고 다양한 체험, 자발적 독서로
특징지어지는데, 과학 창의성이 낮은 학생의 여가 활동은 비교적 단순했다. 넷째, 과학 창의성이 높은 학생
은 과학에 대한 흥미 정도가 각각 달랐지만, 동물, 식물과 같은 생명 영역에 공통적인 관심이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과학 창의성 교육의 정의적, 환경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하고 있다.
*교신저자 (임채성) E-mail: cslim@snue.ac.kr